옐로하우스 마지막 종사자의 사직서-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옐로하우스는 2000년대 초 만 해도 90여 개 업소가 영업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2004년 '성매매특별법'이 시행된 이후 업소들이 하나 둘 문을 닫기 시작했다. 게다가 2016년에는 조합이 구성돼 이 일대의 재개발을 추진했다. 이 때부터 업주와의 갈등이 시작됐다.
"그동안 업주였던 일부 재개발 추진 지주들이 우리가 번 돈을 많게는 70% 이상 가져가 호의호식하더니 재개발이 시작되자 우리를 갑자기 길거리로 내몰았어요. 단 한 푼의 보상이나 이주비도 없이요. 수십년 간 돈을 벌어줄 때는 그렇게 잘해주는 척 하더니... 너무 화나고 허무히기도 했죠"
A씨와 이곳 여성들은 갈 곳이 없었다. 이들에게 옐로하우스는 짧게는 몇년에서 길게는 수십년 동안 살면서 일한 셍계 터전이자 주거 공간 이었다. 이들은 거리로 나설 수 밖에 없었다.
세상의 시선은 차갑기만 했다. 특히 미추홀구가 이곳 종사자들에게 최대 연 2,000여 만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수많은 비난이 쏟아졌다. 그러나 그 계획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도 한정적일 뿐 아니라 종사자들과 단 한차례 사전 협의도 없이 추진된 것이었다.
마지막 종사자들이 떠나면 옐로하우스는 아파트단지로 탈바꿈한다. 거리에 어둠이 내리면 화려한 네온사인이 밝혀지고 곳곳에서 흥정이 벌어졌던 과거는 사진 속 기록으로만 남게 된다. 이제 이곳을 떠나야 한다는 것을 그들도 알고 있었다. 이곳을 떠나면서 이 일을 그만 두어야 한다는 것도.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갈 곳이 없다고 했다. 모아놓은 돈도 없고 찾아갈 만한 인연도 다 끊긴지 오래다. 손가락질과 비난이 따를지라도 재개발조합과의 싸움을 그만둘 수 없는 절박한 이유다.
"우리는 끝까지 싸울거에요. 이 일을 시켜 호의호식했던 업주들은 재개발로 또 돈을 벌면서 한 푼의 보상도 없이 우리를 내몰았어요. 이 곳은 우리의 직장이자 집이었습니다. 강제집행으로 이곳을 밀면 그 자리에 텐트를 설치할 각오를 하고 있어요. 사람들이 우리를 바라보는 시선을 알고 있고 충분히 이해도 해요. 하지만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는 우리들의 사정과 절박함도 조금은 이해해주면 좋겠어요."
기사읽기 : 옐로하우스 마지막 종사자의 사직서-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 인천in 시민의 손으로 만드는 인터넷신문 (incheonin.com)
옐로하우스 마지막 종사자의 사직서-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 인천in 시민의 손으로 만드는 인터
옐로하우스 마지막 종사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4호 건물.노란색 시트지가 붙은 건물들이 줄지어 있던 곳. 골목길로 들어서면 이어지는 커다란 유리창의 집들. 밤이 되면 네온사인이 거리를 밝히
www.incheonin.com
'자료실 > 기사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공유] 우리 사회에 묻는다, 성노동자 보호하는 ‘여성주의적 성매매’는 불가능하냐고 (1) | 2024.10.24 |
---|---|
[기사공유] [르포] '홍등가와의 전쟁' 원주 희매촌 단속…일촉즉발의 긴장감 (0) | 2024.10.24 |
[기사공유] "물러설 곳이 없어요".. 순찰 강화에 성매매 업주·여성 반발 (2024.10.21/뉴스데스크/원주MBC) (0) | 2024.10.24 |
[기사공유] [단독] 유흥업소 단속하며 돈 받은 현직 경찰관 (0) | 2024.10.18 |
[기사공유] "몸 파는…" 어린 딸 유치원에 도착한 문자: 누가 텍사스촌 여종사자를 죽음으로 몰았나 (0) | 202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