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30 2

[기사공유] "사회는 우리의 애도에 응답하라"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춤추는 '성노동자'들

"사회는 우리의 애도에 응답하라"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춤추는 '성노동자'들 “왜 아직 목숨의 위협을 받아도 경찰에 신고할 엄두조차 못 내는 존재가 있습니까?” 지난 17일은 ‘국제 성노동자 폭력 종식의 날’이었다. 수십 명의 성노동자 여성을 살해한 미국의 연쇄살인범 게리 리지웨이의 유죄 판결을 계기로 2003년 도입된 기념일이지만, 그로부터 20여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성노동자 여성들은 여전히 법적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다. 지난 8월 서울 송파구에서 강윤성에게 살해당한 여성 두 명은 모두 노래방 도우미였다. 지난 6월에는 일본 도쿄의 한 호텔에서 30대 성노동자 여성이 19세 남성에게 살해당했다. 이 남성은 경찰 조사에서 “유흥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없어져도 된다”고 진술했다. 지난 3월에는 미국 애틀랜..

[기사공유] “성노동자의 죽음은 사회적 죽음이다”···2021 성노동자 추모행동

“성노동자의 죽음은 사회적 죽음이다”···2021 성노동자 추모행동성노동자의 죽음을 사회적으로 애도 할 수 있어야 하고, 성노동자에 대한 폭력과 혐오를 멈춰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집회 참가자들은 성노동자의 죽음은 사회적인 죽음이므로, 이들을 공적으로 추모하고 애도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성노동자들이 ‘창녀’라는 이름으로 혐오와 차별을 받고, 죽임당하거나, 폭력과 강간을 당해도 되는 존재로 여겨지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들을 향한 폭력 막을 수 있는 사회적인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성노동자들이 안전한 노동환경에서 일할 권리를 보장하지 않고, 이들을 향한 폭력을 묵인으로 응답하는 공권력에 대해서도 규탄의 목소리가 나왔다.한 성노동자 당사자는 “자기가 스스로 결정한 일이면 모욕받고 죽임당해..